반응형
고객마다 정말 다양한 가격결정절차가 있다.
현재 프로젝트 진행중인 고객은 자재 BOM구성이 상위자재A 에 하위자재 1(장비), 2345(기타 소모품)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위자재A만 가격관리 대상이다.
현재 고객의 요구사항은 가격관리 기준은 상위자재로 하지만
오더 생성 시, 상위자재A 가격을 하위자재의 1번(장비)에 밀어주어 자동으로 가격이 세팅되게 해달라는 것이었다.
그럼 이것을 바로 VOFM 계산식과 EXIT을 수정하면 되느냐 ?
NO~!
그렇게 간단하게 되지 않는다.
우선 조건 유형을 살펴봐야 한다. ▼


위에 그림을 보면 수동 입력이라는 칸이 있다. 이 항목이 현재 'D'라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아래 그림과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D' 값으로 설정이 되어있다면 VOFM에서 코딩을 하려고 해도 값이 수정이 안된다고 한다. (테스트는 안해보았지만.. 그렇다..) ▼

그럼 만약 'C'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
이렇게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게 열려있다!
이 상태에서 VOFM 에서 계산식 수정을 해야 반영이 된다고 한다. ▼

아무튼 세팅을 해주지 않으면 VOFM에서 코딩을 한다해도 제대로 먹지 않는다 ! 주의할 것.
끝.
반응형
'ABAP > 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 테이블에서 효력시작일, 효력종료일이 중요 (0) | 2023.06.30 |
---|---|
SD 가격결정 조건 테이블 코딩 위치 (0) | 2023.06.29 |